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16
한자 金淨
영어공식명칭 Kim Jeong
이칭/별칭 원충(元冲),충암(冲菴),고봉(孤峯),문정공(文貞公),문간공(文簡公)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86년연표보기 - 김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04년 - 김정 생원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07년 - 김정 별시갑과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10년 - 김정 홍문관 교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14년 - 김정 보은 함림역 유배
몰년 시기/일시 1521년연표보기 - 김정 사망
추모 시기/일시 1545년 - 김정 관직 복구
추모 시기/일시 1555년 - 김정 삼년성서원(상현서원) 배향
추모 시기/일시 1568년 - 김정 시호 문정 추시
추모 시기/일시 1576년 - 김정 시호 문정에서 문간으로 고침
추모 시기/일시 1617년 - 김정 성곡서원 배향
거주|이주지 충암 종택 - 대전광역시 동구 신하동 묘골
묘소|단소 충암김정선생묘소 - 대전광역시 동구 신하동 273
사당|배향지 상현서원 -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 304
사당|배향지 귤림서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 1438
사당|배향지 성곡서원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경주
대표 관직|경력 형조판서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유배되었던 조선 전기 문신.

[가계]

본관은 경주이고, 자는 원충(元冲), 호는 충암(冲菴)·고봉(孤峯)이다. 증조부는 평택현감을 지내고 도승지로 추증된 김호(金滸)이다. 조부는 형조참판으로 증직된 김처용(金處庸)이고 아버지 김효정(金孝貞)은 정언을 지냈고 이조판서로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판관을 지낸 허윤공(許允恭)의 딸이다.

[활동 사항]

1486년 보은에서 출생하여 19세가 되던 1504년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1507년 별시(別試) 갑과(甲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 사간원 정언, 병조 정랑, 사간원 헌납 등의 관직을 지냈다. 1510년 홍문관 교리에 제수되었으나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상소로 청하여 충청도도사로서 외직에 나갔다. 1514년 순창군수로 있을 때 담양부사 박상(朴祥)과 함께 폐비 신씨(愼氏)를 복위시키고 신씨의 폐위를 주장한 인물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보은 함림역으로 유배되었다. 귀양살이에서 풀려난 뒤 사림파의 정치적 성장과 함께 부제학에 임명되어 경연참찬관으로서 강론하였으며 향약(鄕約)의 시행을 청하기도 하였다.

1519년 공신들의 위훈(僞勳) 삭제를 둘러싸고 중종이 공신들의 주장에 동조하면서 기묘사화가 발생하였다. 김정은 영의정 정광필(鄭光弼) 등 대신들의 변호와 성균관 유생들의 호소 덕분에 죽음을 면하고 금산(錦山)으로 유배되었다. 금산에 유배되어 있을 때 어머니를 뵙기 위해 수령의 허락을 얻어 보은에 다녀온 일이 발각되면서 금산군수 정웅의 추문과 함께 1520년 1월 진도(珍島)로 옮겨졌다. 1520년 6월 제주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1521년 사사(賜死)되었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 『충암집(冲庵集)』이 전한다. 김정의 유집(遺集)인 『충암집』은 1552년 공주목사 허백기(許伯琦)에 의해 초간본이 간행되었다. 이후 1636년 간행된 중간본은 증손 김성발(金聲發)이 금산의 수령으로 부임하면서 발간하였는데, 이 중간본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판본이다.

[묘소]

김정 묘소는 대전광역시 동구 신하동 273에 위치한다.

[상훈과 추모]

1545년 관직이 복구되었고 1646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568년 시호를 문정(文貞)이라 하였다가 1576년 문간(文簡)으로 고쳤다. 1555년 충청북도 보은에 삼년성서원(三年城書院)을 건립하여 배향하였으며 이후 상현서원(象賢書院)으로 사액되었다. 이후 제주도의 귤림서원(橘林書院)과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 등에도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