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21
한자 衙仁里石塔
이칭/별칭 아인리 석탑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 134-15
시대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문경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3년 11월 12일연표보기 - 아인리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7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아인리석탑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아인리석탑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 134-15 지도보기
성격 석탑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약 2m
소유자 금산군
관리자 금산군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건립 경위]

아인리석탑(衙仁里石塔)은 고려 시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시대 진례현(進禮縣)의 읍치(邑治)가 있던 곳 가까이에 있는 점이나 ‘대덕’이라는 명문 기와가 수습된 점을 볼 때, 고려 시대 진례현 치소에 있던 자복사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금산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석탑이다.

[위치]

아인리석탑금산군 금산읍 아인리 134-15번지에 있다. 금산우체국에서 인삼로를 따라 서쪽으로 직진하면 대전지방법원 금산군법원이 나온다. 대전지방법원 금산군법원을 지나 사거리에서 우회전 하여 약 100m 정도 북쪽으로 가면 금산동중학교 입구에 있는 절터가 보인다. 아인리석탑은 절터의 중앙에 세워 있다.

[형태]

약 2m 크기의 3층 석탑이며, 화감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1층 기단은 4장의 넓은 돌을 세워 네 면을 만들고, 판돌을 덮어 마무리하였다. 탑신의 1층 남쪽 면에는 선으로 부처의 모습을 새겨 넣었다. 2층은 몸돌이 없어져 1층 옥개석 위에 2층 옥개석을 얹어두었다. 옥개석 받침은 1층은 4단, 2층은 3단이다. 옥개석의 두께는 두꺼운 편이며, 네 귀퉁이는 살짝 위로 올라가게 조각하였다. 인근에 고려 시대 기와 편이 흩어져 있는 점이나, 옥개 받침과 옥개석의 구조 등을 고려하면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금석문]

‘금귀대덕(金貴大德)’이라는 글자가 새겨 있는 명문 기와가 주변에서 수습되었다.

[현황]

아인리석탑은 1993년 11월 12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현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제327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금산군이다. 본래는 1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3층 석탑으로 보이지만, 현재는 탑신의 2층 몸돌과 3층의 옥개석, 그리고 상륜부의 장식이 없어진 상태이다. 1993년에 찍은 사진에는 3층 탑신 위에 작은 옥개석 조각이 올려져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참고문헌]
  •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두산백과 두피디아(https://www.doopedia.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