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47
한자 錦山 栢嶺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산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박초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5월 24일연표보기 - 금산 백령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83호 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2005년 - 금산 백령성 충청남도역사문화원에서 1차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20년 - 금산 백령성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에서 2차 발굴 조사
현 소재지 금산 백령성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산1 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금산역사문화박물관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75[중도리 203-28]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
크기(높이,길이,둘레) 207m[둘레]|7.6m[외벽]|2.2m[내벽]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개설]

금산 백령성은 백제 말기의 테뫼식 석성이다. 발굴 조사는 2004~2005년, 2020년에 시행되었다. 2004년 발굴 조사는 산성 정상부 일대와 남문지 주변에 대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평면 ㄱ자형의 남문 구조와 성내 진입 시설[내옹성], 보도 시설, 토광 유구, 구들 시설, 목곽 시설 등과 다량의 명문와 및 인장와가 확인되었다. 2005년 발굴 조사에서는 백제 시대 북벽 구간에 조성된 겹성벽 구조와 북문 현황 및 목곽 시설이 조사되었다. 2020년 발굴 조사에서는 백제 시대 남서쪽 성벽의 내벽 구조, 대지 조성 흔적, 석렬 시설[6기], 수혈 유구[3기], 주공 등이 확인되었다.

[위치]

금산 백령성성치산[759m] 동쪽 정상부에 있다. 6·25전쟁 때 전적지인 백암산 육백고지 전승탑 뒤편이다. 금산 백령성이 자리한 곳은 군사적 결절점으로,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영동군·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으로 연결되는 한가운데에 해당한다.

[형태]

금산 백령성은 전체 둘레 207m의 소규모 산성으로, 표고 430m의 야산 정상부를 둘러싼 테뫼식 석축 산성이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높이는 외벽 7.6m, 내벽 2.2m 정도이고, 내·외벽의 폭은 4m 내외이다.

[현황]

금산 백령성 발굴 조사에서 백제 시대 북문 1개소, 남문 1개소, 치 1개소, 보도 시설 1개소, 토광 유구 2기, 구들 시설 1기, 목곽 시설 1기 등이 조사되었다. 남문은 현문식이며, 성 안쪽에 내옹성, 회곽도 등이 조성되어 있어 문지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 준다. 성내에서는 구들 시설, 수혈 시설, 목곽고가 확인되었다. 목곽고는 성내 정상부 부근에 시설되어 있는 입지와 구조를 고려할 때,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 시설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유물은 도장 명문와, 음각 명문와, 토기류, 철기, 팽이형 목기, 목제 잔, 묵서 목판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 특히 명문와는 산성의 축조 시기와 역사적 성격 등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금산 백령성은 소규모 석축 산성임에도 불구하고 내부에서 다양한 시설과 유물이 확인되어 백제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금산 백령성은 또한 백제 멸망기 신라의 진격로인 탄현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주변 산성들과 함께 백제 멸망 당시의 전황을 살피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