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360 |
---|---|
한자 | 驛院制 |
영어공식명칭 | The System of Horse-switching Station and Public Accommodation |
이칭/별칭 | 역참제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정규완 |
[정의]
조선 시대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설치되었던 교통·통신의 기능을 하였던 역과 원.
[개설]
조선 시대에는 서울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 및 통신 제도로 역과 원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는데, 금산 지역에는 무주, 진안 등으로 연결되는 도로인 제원도(濟原道)와 이를 이용하기 쉽게 하는 제원역(濟原驛) 등의 역원이 있었다.
지방을 이동하는 관리에게 말을 제공하는 역과 공적인 목적으로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 등이 숙식을 위해 사용했던 원은 보통 함께 사용되어 역원(驛院)이라고 하였다. 원은 여행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때때로 일반 행인들에게 휴식처로 제공되기도 하였다. 관리에 대한 숙식을 역이나 고을에서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원은 조선 후기에 점차 사라졌다. 금산 지역에는 제원도를 관할하는 찰방역(察訪驛)인 제원역(濟原驛)이 현재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 200번지[제원초등학교]에 있었다. 제원역은 제원도의 중심이 되는 역으로 금산에서 용담[현재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용담면]의 달계역(達溪驛), 무주[현재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의 소천역(所川驛), 진안[현재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의 단령역(丹嶺驛), 고산[현재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산면]의 옥포역(玉包驛) 등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금산의 역원제]
조선 시대 금산 지역에 있었던 역과 관련된 내용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금산군읍지(錦山郡邑誌)』 등의 기록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1530년(중종 30)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금산군에는 제원역이 군의 동쪽 5리에, 남제원(南濟院)이 군의 남쪽 30리에, 기평원(岐平院)이 무주 경계 30리에, 북정원(北亭院)이 군의 북쪽 5리에, 금남원(錦南院)이 군의 남쪽 60리에, 동원(東院)이 군의 동쪽 5리에, 금곡원(金谷院)이 군의 서쪽 12리 진산 경계에 있었다. 1656년(효종 7) 편찬된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에는 제원역이 군의 동쪽 10리에 있었다고 기술된 것 외에는 모두 같다.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은 조선 시대 금산군과 진산군이 합쳐진 것으로,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에 따르면 진산군에는 삼식원(三息院)이 군의 동쪽 3리, 요광원(要光院)이 군의 동쪽 30리, 신창원(新昌院)이 군의 북쪽 15리에 있었다. 『제원역지(濟原驛誌)』에 따르면 제원역에는 상등마(上等馬) 2마리, 중등마(中等馬) 3마리, 하등마(下等馬) 5마리가 있었다. 제원역에 속한 소천역은 무주에 있었으며, 상등마 1마리, 중등마 9마리가 있었다. 달계역은 용담(龍潭)에 있으며, 상등마 1마리, 하등마 7마리가 있었다. 단령역은 진안(鎭安)에 있으며, 중등마 2마리, 하등마 3마리가 있었고, 옥포역은 고산(高山)에 있으며, 중등마 4마리가 있었다. 따라서 금산의 역에서는 상등마 4마리, 중등마 18마리, 하등마 15마리 총 37마리의 말을 이용할 수 있었다. 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금산군읍지(錦山郡邑誌)』에서는 제원역이 군의 동쪽 10리에 있으며, 기평원은 군의 동쪽 30리에 있는데 지금은 가정자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금산군읍지(錦山郡邑誌)』에 북정원, 금남원, 동원, 금곡원 등이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정조 시기 이전에 이들이 폐지되거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1861년 이후부터 1866년까지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금산에는 제원역만 동쪽 10리에 있다고 하였으나, 1895년(고종 32) 편찬된 『호남읍지(湖南邑誌)』에는 제원역과 가정원이 기록되어 있다. 진산의 원에 관한 기록은 『동국여지지』 이후 등장하지 않아 정확히 언제 사라졌는지 알 수 없다. 금산의 대표 역인 제원역의 모습은 1895년(고종 32) 편찬된 『호남역지』에 잘 나타난다. 제원역은 성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관아, 동헌(東軒), 창고, 장청(將廳), 관재(官齋), 마당(馬堂) 등의 건물이 있었다. 관아 남쪽에는 선해주점(船海酒店)과 대천점(大川店)이 있었다. 역원 제도는 갑오개혁을 계기로 근대적인 통신 제도가 도입되면서 1896년 1월 폐지되었다.
제원역은 제원면 제원리 200번지 현재 제원초등학교 자리에 있었으며, 동원은 현재 제원면 천내2리 원골마을에 있었고, 남제원은 남일면 신정리 원동마을에 있었으며, 요광원은 추부면 요광3리에 있었다. 이들 터는 모두 따로 보존되거나 관리되지는 않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 금산 지역에 설치된 역은 지리적 중요성에 따라 설치, 변화되었으며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