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311
한자 植物相
영어공식명칭 Flora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윤미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분포하는 식물 개관.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은 한국의 자연식생역 중 냉온대삼림대 남부에 속하며, 낙엽활엽수림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반도 식물상에 근거한 지역구분에 따르면 남부아구의 북부지역에 해당한다. 금산군은 군 면적의 약 62%가 산림으로, 북쪽으로는 서대산[904m], 서남부로 펼쳐진 진악산[732m], 대둔산생애대[735m] 등 높은 산지가 많으며, 금강, 서화천, 유등천, 벌곡천 및 장산천 등의 하천이 조화를 이루어 분지, 계곡, 구릉 등 다양한 지형들이 분포한다. 금산군의 연평균기온은 11.6℃로 인근의 대전광역시 보다 약 1~2℃낮으며, 연평균강수량은 1,296.8㎜로, 강수량의 약 60%가 여름철에 편중된다. 연평균풍속은 1.1m/s로,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여름철에는 남서풍이 우세하다. 금산군의 모암은 옥천계 수성암층과 화강암이 주를 이룬다.

[식물상]

금산군의 생태현황지도에 의하면, 금산군에는 113과 363속 587종 15아종 52변종 7품종, 총 661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분포한다. 이 중 국화과가 67분류군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벼과 47분류군, 백합과 39분류군, 콩과 36분류군, 장미과 32분류군, 사초과 25분류군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만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식물 즉, 고유종은 은사시나무, 외대으아리, 새끼노루귀, 은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노각나무,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흰바디나물, 산앵도나무, 오동나무, 병꽃나무, 실제비쑥, 벌개미취, 백운산원추리, 지리대사초 및 개나리가 확인되었다. 외국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생태계교란식물은 환삼덩굴,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주요 식물 군락]

금산군의 식생은 총 122개의 유형이 분포하며, 이 중 굴참나무-소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등이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다.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은 흉고직경 10~26㎝, 높이 12~20m인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에 졸참나무, 갈참나무, 산벚나무, 굴참나무, 관목층에 잣나무, 털진달래, 참싸리, 때죽나무, 신갈나무, 노간주나무, 산초나무, 졸참나무, 음나무 등, 초본층에 땅비싸리, 댕댕이덩굴, 그늘사초, 청미래덩굴, 감태나무, 바디나물, 삽주, 생강나무, 고사리 등이 함께 군락을 이루었다.

소나무군락은 흉고직경 21~27㎝, 높이 10~16m인 소나무가 우점하고, 굴참나무, 갈참나무가 혼생하며, 아교목층에는 갈참나무, 관목층은 철쭉, 갈참나무, 쪽동백나무, 비목나무, 진달래, 당단풍나무, 초본층은 가는잎그늘사초, 꽃며느리밥풀, 당단풍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상수리나무군락은 흉고직경 6~28㎝, 높이 10~18m인 상수리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소나무, 밤나무, 리기다소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분포하고, 관목층은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조록싸리, 신갈나무, 개서어나무 등이, 초본층은 고사리, 큰까치수염, 참취, 둥굴레, 대사초 등이 분포하였다.

리기다소나무식재림은 교목층에 흉고직경 11~36㎝, 높이 12~20m인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고, 밤나무와 상수리나무가 함께 분포하며, 아교목층은 졸참나무, 관목층은 단풍나무, 피나무, 쥐똥나무, 중국단풍, 산벚나무, 개옻나무, 산뽕나무, 화살나무 등이, 초본층은 주름조개풀, 청가시덩굴, 담쟁이덩굴, 사위질빵, 찔레나무, 새머루, 으름덩굴 등이 군락을 이루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