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93
한자 國師峰
영어공식명칭 Guksabong Mountain
이칭/별칭 국수봉,국시봉,구시봉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한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국사봉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해당 지역 소재지 국사봉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지도보기
성격
높이 667.5m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에 있는 산.

[개설]

국사봉은 전국적으로 많이 산재해 있는 지명으로 138개가 존재한다. 충청남도 금산군의 국사봉은 이 중 해발 고도가 가장 높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진산면 경계의 월봉재 부근에도 동일한 지명의 봉우리[496.4m]가 있다.

[명칭 유래]

‘국사봉’이라는 지명의 유래에는 몇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는 나라의 스승인 국사(國師)를 배출한 절이 있거나 고향이거나 국사와의 인연이 있는 산봉우리에 상징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국사봉~천태산 능선의 남쪽에 신안사가 위치하고 있어, 절을 창건한 신라 시대의 현장법사와 연계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별칭으로 국수봉이라고도 부른다. ‘국수’는 나라의 병을 고친다는 의미로 나라에 우환이 생겼을 때 높은 봉우리에 신당과 제단을 차려 놓고 제를 지낸 것에서 기인한다. 1950년대 국사봉 정상부에서 그릇 조각, 철마, 모형 배, 금반지 등이 출토되어 민속 신앙의 장소로 이용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 밖에 국시봉, 구시봉으로도 불린다.

[자연환경]

국사봉[667.5m]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인한 흑운모 화강암이 기반암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으로 발군산, 동쪽으로 천태산으로 이어진다. 산정부까지 식생으로 피복되어 있으나 북동쪽 사면과 남서쪽 사면에서 기반암이 노출된 급애가 나타난다. 능선부를 따라 기반암의 풍화층과 토양층이 드러나 있으며, 핵석이나 토어(tor)가 나타난다.

[현황]

정상에는 1960년대 후반 육군 통신 초소가 설치되어 1980년대까지 군인이 주둔하였다. 1970년대에는 답박굴 뒤 평탄면에 예비군 훈련장이 설치되어 10여 년간 운영되었다. 현재 버들목재,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산안리를 원점으로 하는 등산로가 개설되어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최근 17㎞에 이르는 국사봉 둘레길이 조성되어 붉은 아카시아, 모감주, 마가목 등이 식재된 이색적인 구간들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국토지리정보원, 2008)
  • 『금산군지』 4(금산군지편찬위원회, 2011)
  • 두산백과 두피디아(https://www.doopedia.co.kr)
  • 지역N문화(https://www.nculture.org)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충청남도 100대 산(http://cn100.chungnam.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