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산 토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83
한자 天台山-
영어공식명칭 Cheontaesan Mountain To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한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천태산 토어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해당 지역 소재지 천태산 토어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지도보기
성격 암석 지형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과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에 걸쳐 있는 천태산에 있는 암석 지형.

[개설]

천태산[715m] 북쪽으로 대성산, 남쪽으로 월영봉으로 이어진다. 천태산월영봉 능선을 자르면서 금강이 흘러 협곡을 이룬다. 천태산 주 능선의 동쪽 사면은 급경사 지형인 급애가 노출되어 있고, 토어가 발달해 있으나, 서쪽 사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식생이 피복하고 있는 비대칭적 사면 형태를 이루고 있다.

[명칭 유래]

토어(tor)는 잉글랜드 다트무어(Dartmoor) 지방의 화강암 암괴를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지형학 용어로 자리잡게 되었다. 1997년부터 이루어진 전국 자연환경 조사의 지형 분야 조사 결과로 나타난 단위 지형의 명칭이다.

[자연환경]

천태산의 기반암은 중생대 쥐라기의 반상 흑운모 화강암과 홍색 장석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생대 백악기의 석영 반암이 포획암의 형태로 나타난다. 천태산의 토어, 급애, 보른하르트와 같은 지형들은 기반암의 풍화, 침식 과정을 견디고 남은 풍화 잔존 지형들이다. 천태산 토어천태산의 능선과 사면에 암설이 탑처럼 쌓여서 만들어진 지형이다.

[현황]

제2차와 제4차 전국 자연환경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천태산의 토어, 급애, 보른하르트 등의 주요 지형들은 충청북도 영동군에 속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