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284 |
---|---|
한자 | 薔-人生 |
영어공식명칭 | Jangmibich Insae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연숙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출신 작가 육상호의 1994년 개봉한 멜로 영화 시나리오.
[개설]
1995년 제3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제33회 대종상 시나리오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 8월 19일 오늘부터출판사에서 전자책으로 간행되었다. 한국 시나리오 걸작선 시리즈 중 하나로, 11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장밋빛 인생」은 1987년 서울의 가리봉동을 배경으로, 허름한 심야 만화방에서 살던 사람들의 삶을 조망한다. 등장인물들의 삶은 그들이 꿈꾸던 장밋빛 인생과는 거리가 멀다. 특히 서로를 깡패 또는 불순분자로 적대시하던 동팔과 기영이 마지막에서 극적으로 화해한다. 이는 인간에 대한 약속과 책임을 실천해야 하던 그 시대의 운명 공동체를 비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징]
「장밋빛 인생」은 1980년대 사회상을 그리는 작품에서 간과되던 심야 만화방을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육상호는 이와 같은 공간을 통해 1980년대의 주거지와 사회 복지 혜택에서 거리가 먼 인물들을 차분하게 그리면서 자신만의 양식과 현장 취재의 태도를 드러냈다.
[의의와 평가]
1987년 당시의 혼란하던 사회상을 반영함으로써 시나리오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화로 전개하는 과정에서 고전적인 양식에 매몰되어 있어 흥미나 관심을 끌어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