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279 |
---|---|
한자 | 向日花 |
영어공식명칭 | Sunflower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현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출신 시인 정순량의 시조.
[개설]
시인 정순량은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편지」가 당선된 이후 열 권의 시조집과 두 권의 산문집을 펴냈다. 「향일화(向日花)」는 1979년 창학사에서 발간한 시조집 『향일화』에 수록된 작품이다.
[구성]
현대 시조가 갖는 새로운 형식의 장 배치 등이 없이 수마다 전형적인 평시조 형식이 적용된 시조로 전체 4수로 구성된 연시조이다.
[내용]
「향일화」는 전체 4연으로 제1연에서는 떠돌이 구름 같은 마음을, 제2연에서는 나의 회귀를 기다리는 당신을, 제3연에서는 당신을 따르는 나를, 제4연에서는 나를 반기는 당신과 당신을 따르려는 나를 노래하고 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향일화(向日花)
-잃었던 아들이 돌아오다[녹15:11~32]
흐린 여러날 동안 당신을 못뵈온 채/ 주룩 주룩 비가 내리고 온 몸이 젖었는데도/ 마음은 떠돌이 구름 돌아올 줄 모릅니다// 나는 당신을 잊어도 당신께선 나를 못잊어/ 하늘 밖 땅 끝까지 지켜보고 계시면서/ 언젠가 돌아올 날의 그 기약에 목멥니다// 천둥치고 벼락때려도 놀랄 줄 모르던 내가/ 문득 어느날 밤 밝혀드는 말씀으로/ 오늘은 당신을 따라 지친 발길 옮깁니다// 바람따라 구름 보내고 새 하늘 맑힌 후에/ 당신은 그 옛처럼 미소지어 반기오니/ 向日花 한 판 꽃으로 해를 쫓아 돌렵니다
[특징]
「향일화」의 내용은 부제에서 보여 주듯 기독교의 교리를 함축하고 있는 신앙시로 국악으로 작곡되어 찬양가로 불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기독교적 교리를 시조의 형식에 의거 형상화한 작품으로 우리 고유의 전통 양식인 시조를 활용한 신앙시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