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861 |
---|---|
한자 | 社會福祉 |
영어공식명칭 | Social Welfar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종안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주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사회 정책과 제반 시설.
[개설]
금산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동으로 2006년 8월에 금산군의 지역 사회 복지 계획을 작성하였다. 2007년 12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복지 총괄, 저소득층 복지, 노인 복지, 장애인 복지, 아동·청소년 복지, 보육 서비스, 여성 복지, 가족 복지, 보건 의료 서비스, 사회 복지와 보건 의료 서비스 연계 등 10개 분야를 대상으로 현황 및 문제점 파악, 복지 수요 측정, 사업 목표 및 세부 사업, 연차별 사업 계획 및 추진 방법 등이 담긴 금산군 복지 계획을 제시하였다. 금산군 10개 읍면에서 사회 복지 전담 공무원과 사회 복지 담당 공무원이 복지 및 주민 생활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복합 문화 복지 공간]
금산다락원은 2004년 10월 29일 개원하였다. 생명의 집[문예회관], 건강의 집[보건소], 만남의 집, 문화의 집, 노인의 집, 장애인·청소년의 집[청소년수련관], 여성의 집, 농민의 집, 스포츠센터, 도서관, 청산회관, 청산아트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명의 집은 대공연장, 소공연장, 귀빈실, 카페테리아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의 집은 소장실, 건강증진연구실, 의사지도연구실, 회의실, 소회의실, 방문보건팀, 정신보건센터, 예방접종상담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남의 집은 관리사무실, 대소회의실, 프레스센터·휴게실, 금산발전연구소, 자료실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의 집은 문화사랑방, 풍류방, 금산향토연구소, 합창단실, 서예방, 그림방, 글방, 연공방, 소리방, 도자기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애인·청소년의 집은 정보화교실, 체력단련실, 인터넷실, 예절방, 물품관리실, 춤방, 노래방, 그림방, 오디오방, 상담실, 심리치료실, 언어치료실, 어학실, 수화통역실, 자료실, 휴게·다목적실로 구성되어 있다.
노인의 집은 일반목욕실, 특수목욕실, 건강증진센터, 상담실, 서예교실, 자원봉사실, 사회교실, 대한노인회 금산군지회, 사랑방[남, 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성의 집은 생활교육실, 예절실, 놀이방, 강사실, 취미교실, 요리실습실, 식품가공실, 인삼요리실습실, 요리준비실로 구성되어 있다. 농민의 집은 인삼고을명품판매장, 관리실, 농업발전연구실, 쉼터방, 자료전시실, 농업정보실로 구성되어 있다. 스포츠센터는 실내수영장, 헬스장, 건강증진실, 재활운동실, 정신건강증진센터, 다목적실, 실내체육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주요 시설 현황을 보면, 금산에 있는 도서관은 금산기적의도서관, 금산인삼고을도서관 등이다. 금산기적의도서관은 책나라열람실, 아가들방, 이야기방, 도움방, 디지털자료실, 지킴이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산인삼고을도서관은 향토자료실, 전자정보·디지털자료실, 일반열람실, 문화사랑방, 보존서고, 도우미실, 자원봉사실로 구성되어 있다. 청산아트홀은 전시 공간이고, 청산회관은 공연장이다. 금산향토관은 민속전시관, 역사전시관, 농악전시관, 다목적회의실로 구성되어 있다.
[분야별 사회 복지 현황]
1) 노인 복지
노인 복지 시설은 노인 여가 복지 시설, 노인 주거 복지 시설, 노인 의료 복지 시설, 노인 재가 복지 시설로 나누어진다. 노인 여가 복지 시설로 경로당이 338곳이 있다. 노인 주거 복지 시설로 양로 시설 1곳, 노인 공동 생활 가정 1곳이 있고 세 명이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다. 노인 의료 복지 시설은 노인 요양 시설 8곳에서 285명이 생활하고 있고, 노인 요양 공동 생활 가정 15곳에 108명이 입소하여 복지 혜택을 받고 있다. 노인 재가 복지 시설로는 방문 요양 서비스 36곳, 주야간 보호 서비스 19곳, 방문 목욕 서비스 29곳이 운용되고 있다.
2) 여성 복지
여성의 권익 신장을 위하여 여성 사회 교육 프로그램과 성폭력 피해 여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산군가정폭력상담소를 운영하고 있다. 2021년 성폭력 상담은 358건을 하였다. 피해자 지원은 심리적·정서적 408명, 수사적·법적 142명, 의료 3명, 시설 입소 연계 9명, 기타 170명을 지원하였다.
3) 장애인 복지
2021년 말 기준 금산군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4,761명으로 전체 인구의 9.3%에 이르고 있다. 2021년 말 기준 유형별 장애 현황을 보면 지체 장애 2,285명, 뇌 병변 장애 372명, 시각 장애 382명, 청각 장애 863명, 언어 장애 36명, 지적 장애 443명, 자폐성 장애 33명, 정신 장애 136명, 신장 장애 122명, 심장 장애 5명, 호흡기 장애 20명, 간 장애 20명, 안면 장애 8명, 장루 요루 장애 34명, 뇌전증 장애 13명이다. 금산군은 중앙 정부의 장애인 복지 정책과 별개로 장애인 복지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1994년 1월 8일 「금산군 장애인복지기금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금산군의 출연금과 기금 운용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을 등을 기반으로 장애인 복지 기금이 조성되어 장애인 및 장애인 시설 단체 등을 지원하고 있다.
4) 아동·청소년 복지
아동·청소년 복지를 위한 복지 시설로는 양육 시설 1개소, 자립 지원 시설 1개소가 있으며 민간 및 국공립 법인 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있다. 특히 금산군은 청소년에 의한, 청소년을 위한 환경 인프라를 구축하여 청소년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창의력과 호연지기를 갖춘 청소년을 육성하고자 금산청소년미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5) 다문화 가족 복지
다문화 가족 지원의 필요성이 드러나면서 2008년 1월 25일 금산군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가 군수 관사에서 개소하였다. 2008년 9월 23일 금산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현 금산군가족센터]로 개칭되면서 다문화 가족들을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 프로그램으로 한국어 교육, 다문화 이해 교육, 가족 교육, 상담, 직업 교육, 맨토링 지원, 다문화 마당, 다문화 체험, 예절 교육 등이 있다. 일부 교육비를 지원하는 특별 프로그램으로 운전면허 취득·오토바이 면허 취득, 노인 요양사 자격 교육, 중학 입학생 교복 지원, 친정 방문 지원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방문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아동 양육 지원과 한국어 교육 지원이 있다. 그 외에 다문화 가정의 안정된 이미지 구축을 지원하는 결혼 이민자 영농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