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613 |
---|---|
한자 | 辛靖 |
영어공식명칭 | Shin Jeong |
이칭/별칭 | 응청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황재영 |
활동 시기/일시 | 1380년 - 신정 문과 급제 |
---|---|
몰년 시기/일시 | 1388년![]() |
추모 시기/일시 | 1959년 - 신정 대산사 배향 |
사당|배향지 | 대산사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길 81-14[대산리 380]![]()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영산 |
대표 관직 | 밀직제학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대산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 문신.
[개설]
대산사(大山祠)에서 소개하고 있는 신정의 생애와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나타나는 신정의 생애에는 차이가 있다. 대산사에는 신정이 1366년 출생하여 1401년 사망하였으며, 고려가 멸망하자 금산 천태산에 은거하여 충절을 지켰다고 안내되고 있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신정은 고려가 멸망하기 이전인 1388년(우왕 14)에 사망하였다.
[가계]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증조부는 문과에 급제하여 판밀직사사를 지낸 신천(辛蕆)이다. 할아버지는 신인거(辛引𥚑), 아버지는 신경운(辛慶云)이다.
[활동 사항]
1380년(우왕 6) 문과에 병과(丙科) 4위로 급제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관직 활동은 알 수 없으며 1388년(우왕 14) 염흥방(廉興邦)·임견미(林堅味) 일파가 최영(崔瑩)·이성계(李成桂)에게 숙청당할 때 “족당(族黨)” 중 한 명으로서 처형되었다.
[상훈과 추모]
1959년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에 영산 신씨 문중 사당으로 건립된 대산사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