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11
한자 金宗漢
영어공식명칭 Kim Jonghan
이칭/별칭 국보,묵재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추모 시기/일시 1979년 - 김종한 숭절사 배향
유배|이배지 김종한 유배지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묘소|단소 김종한 묘소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순천
대표 관직 이조판서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가계]

본관은 순천이다. 할아버지는 좌찬성에 증직된 김태영(金台泳)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에 증직된 김추(金錘)이다. 절재(節齋) 김종서(金宗瑞)의 친형이다.

[활동 사항]

『조선환여승람』에 따르면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을 거쳐 문종 대에 이조판서를 지냈다고 한다. 『승정원일기』의 1759년(영조 35) 10월 2일 기묘 20/21 기사에, 이정보(李鼎輔)가 왕에게 말한 내용 중에 김종한의 9대손인 무주의 유학(幼學) 김덕현(金德鉉)의 상언(上言)이 기록되어 있다. 김덕현은 김종한의 복권을 요청하였는데, 김종한은 김종서의 친형으로 단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고, 계유정난으로 김종서가 죽었을 때 연좌되어 금산에 유배되었다가 곧 사망하였다고 하였다. 김종서가 이미 복권되었으니 김종한의 복권도 요청한 것이었다. 김종한이 유배되었던 곳은 금산 전도(前島)인데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內島里)로 묘지와 멀지 않은 곳이다.

[묘소]

김종한의 묘는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에 위치하며 아들 김승선(金承璿)의 묘와 같이 있다.

[상훈과 추모]

1759년(영조 35)까지 신원(伸寃)되지 못하였다. 김종서의 신원과 복관이 이루어지면서 『승정원일기』 영조 35년 10월 2일 기사에 무주(茂朱)에 거주하던 김종한의 9대손 유학(幼學) 김덕현(金德鉉)이 상언(上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김덕현은 김종서의 친형이자 자신의 9대조인 김종한의 복관을 호소하였고 마침내 관작을 회복하게 되었다. 1926년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흑암리 성산에 신도비가 건립되었으며 1979년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흑암리숭절사(崇節祠)가 건립되면서 동생 김종서와 함께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