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07
한자 錦山衛星通信 第一地區局 -設備
영어공식명칭 Antenna Equipment at Geumsan Satellite Communications Ground Station No. 1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가래울길 117[양전리 259-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윤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완공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4월 22일연표보기 -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2022년 12월 16일 -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보존 처리 완료
현 소재지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가래울길 117[양전리 259-1]지도보기
성격 위성 통신 안테나
크기(높이,길이,둘레) 27.4m[지름]
면적 57㎡
소유자 주식회사 KT
관리자 주식회사 KT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에 있는 한국 최초 위성 통신 안테나 설비.

[개설]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는 1970년 6월 2일 개국한 한국 최초의 위성 통신 지구국에 설치된 안테나 설비이다.

[건립 경위]

1967년 2월 한국은 국제전기통신위성기구에 가입하였고, 1969년 6월에는 국제전기통신위성기구와 통신 위성 회선 임대 계약을 체결하였다. 계약 체결 후 체신부는 미국 필코포드(Philco Ford) 사에 안테나 설비 제작을 의뢰하였다. 총 공사비 18억 4,000만 원이 투입되었고, 1970년 완공하였다.

위성 통신 안테나가 안정적인 전파를 받기 위해서는 날씨의 영향을 덜 받는 입지 조건이 필요하였다. 충청남도 금산군은 해발 400~900m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로, 덥고 맑은 날이 많아 적합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한국은 위성 통신 지구국의 안테나 설비를 통해 태평양 상공에 떠 있는 인텔샛(Intelsat) 3호 위성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태평양 연안 7개 국가 사이에 136개 회선의 국제 통신망을 구축하게 되었다.

[위치]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는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가래울길 117번지에 있다.

[형태]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는 높이 35m의 콘크리트 지주 위에 세워졌으며, 지름 27.4m의 원형이다. 당시 위성 통신 지구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한 반사경 안테나의 하나인 카세그레인(Cassegrain) 안테나이다. 설비는 주반사판, 부반사판, 안테나 지지 타워, 안테나 구동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는 2009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21년 국립중앙과학관은 기술 자료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를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지정하였다. 문화재청은 총 4억 4,000만 원[국비 2억 2,000만 원, 도비 1억 1,000만 원, 군비 1억 1,000만 원]을 확보하여 2022년 5월~12월에 설비에 대한 보존 처리를 완료하였다. 습식과 건식 세척을 통해 녹을 제거하고 방청 도색과 페인트 마감 처리를 완료하였고, 결속부 및 부반사판 지지대 등을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의의와 평가]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는 한국 최초의 위성 통신 지구국에 설치된 안테나 설비로, 국제 통신망 구축과 발달에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 『충남일보』 (2022. 12. 16.)
  • 뉴스웍스(https://www.newsworks.co.kr)
  •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