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배새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300
영어공식명칭 Chinese Sparrowhawk, Grey Frog Hawk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윤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천연기념물 지정 일시 1982년 11월 16일연표보기 - 붉은배새매 천연기념물 제323-2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붉은배새매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붉은배새매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성격 조류
학명 Accipiter soloensis (Horsfield, 1822)
생물학적 분류 척삭동물문〉조강〉매목〉수리과〉새매속
서식지 평지, 농가, 인가 주변의 숲
몸길이 수컷 30㎝|암컷 33㎝
새끼(알) 낳는 시기 5월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수리과 새매속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형태]

붉은배새매는 몸 길이 수컷 30㎝, 암컷 33㎝로, 무게는 80~160g정도 이다. 암수 모두 몸의 위쪽은 푸른색을 띤 짙은 회색이고, 가슴과 배는 주황색, 아랫배는 흰색이다. 날개 밑부분은 옅은색으로 무늬가 없고 끝이 검다. 수컷의 눈 색은 어두운 붉은색으로 먼거리에서는 검게 보이며, 암컷의 눈은 노란색이다. 어린 새는 가슴과 배에 붉은 밤색 세로줄이, 옆구리에 가로줄이 있으며, 눈은 노란색이다.

[생태 및 사육법]

붉은배새매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는 여름철새로, 4월 말부터 5월 초에 도래해 9월 말에 남쪽으로 이동한다. 개구리를 주식으로 하지만, 곤충이나 쥐, 소형 조류를 먹는다. 5월에 암수가 함께 인가 주변의 침엽수나 활엽수에 둥지를 만든다. 바닥에 나뭇가지를 쌓아 틀을 만들고 그 위에 나뭇잎을 쌓은 다음 3~4개의 알을 낳는다. 알의 크기는 380㎜이고, 포란은 주로 암컷이 하며 약 19일 후 새끼가 나온다.

[현황]

붉은배새매는 1970년대까지 흔하게 관찰되었으나, 서식지 감소와 주식인 개구리 등이 농약에 오염됨에 따라 2000년대 이후로 개체수가 급감하였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1982년 천연기념물로, 환경부에서는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금산군에서는 부리면, 남일면남이면 일대 농경지와 혼합림 인접한 지역, 진산면에서는 하천 인근에서 관찰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