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294
영어공식명칭 Broad-billed Roller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윤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조(市鳥)|군조|구조 지정 일시 2000년연표보기 - 파랑새 금산군 군조 지정
성격 조류
학명 Eurystomus orientalis (Linnaeus, 1766)
생물학적 분류 척삭동물문〉조강〉파랑새목〉파랑새과〉파랑새속
서식지 활엽수림, 혼효림, 도시공원, 농경지 인근
몸길이 29.5㎝
새끼(알) 낳는 시기 5~7월

[정의]

희망과 행복을 의미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군조.

[개설]

파랑새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여름철새로, 우리나라, 일본, 만주 동부, 중국 동부 등지에서 번식하며, 말레이반도, 발리, 미얀마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형태]

몸은 대체로 청녹색이며, 머리와 날개 끝은 검은색이다. 날개는 흰 반점이 뚜렷하다. 부리와 발이 붉고, 부리가 굵고 짧은 것이 특징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과거 충청남도 금산군의 군조는 까치였으나, 까치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면서 ‘해조(害鳥)’로 인식되었다. 금산군은 군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파랑새를 금산의 상징새로 지정하였다.

[생태 및 사육법]

오래된 나무가 많은 숲에 주로 서식하며, 큰 나무의 구멍에 둥지를 틀고 번식한다. 3~5개의 알을 매일 1개씩 낳는데, 22~23일이면 새끼가 깨어난다. 주식은 곤충으로, 딱정벌레목, 매미목, 나비목 등을 잡아먹는다.

[현황]

주로 금강을 따라 관찰되었고,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삽곡리, 복수면 백암리, 남이면 역평리부리면 관천리 일대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