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161 |
---|---|
한자 | 統營大田高速道路 |
영어공식명칭 | Tongyeong-Daejeon Expressway |
이칭/별칭 | 대전진주고속도로,대전통영고속도로,고속국도 제35호선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제원면|군북면|금성면|추부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대은 |
준공 시기/일시 | 1996년 12월 20일 - 통영대전고속도로 진주~서진주 구간 개통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98년 10월 22일 - 통영대전고속도로 서진주~함양 구간 개통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00년 12월 22일 - 통영대전고속도로 무주~산내 구간 개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1년 8월 25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2년 12월 5일![]() |
전구간 | 통영대전고속도로 - 충청남도 금산군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통영대전고속도로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제원면|군북면|금성면|추부면![]() |
성격 | 고속 도로 |
길이 | 26.04㎞ |
차선 | 4~6차로 |
폭 | 23.4m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을 거쳐 경상남도 통영시와 대전광역시를 잇는 고속 도로.
[개설]
통영대전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통영시를 기점으로, 고성군·진주시·사천시·산청군·함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무주군, 충청남도 금산군을 거쳐 대전광역시 동구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고속 도로이다. 금산군 내는 부리면, 제원면, 군북면, 금성면, 추부면을 지난다.
[명칭 유래]
경상남도 통영시와 대전광역시를 연결하는 고속 도로이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며, 초기에는 진주가 종점이었으므로 대전진주고속도로라고도 불렀다. 이후 구간이 통영까지 연장되면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노선 번호는 처음에는 제17호선이었다가, 2001년 8월 25일 노선 체계 개편으로 제35호선으로 변경되었다.
[제원]
총 연장 215.3㎞이며, 이 중 금산군 구간은 26.04㎞이다. 도로 폭은 23.4m이며, 왕복 4~6차선이다. 교량은 총 47개소이며 이 중 상하행선이 분리되어 건설된 교량은 44개소이다. 터널은 1개소가 있으며, 상하행선 별도로 취급한다.
[건립 경위]
과거 육상 교통에서 소외되었던 서부 경남권의 균형 발전을 위해 1986년 6월 대전~진주 간 고속 도로가 기획되면서 시작하였다.
[변천]
1987년 7월부터 1988년 10월까지 대전~진주 간 고속도로 타당성 조사 및 기본 설계가 들어갔으며, 1989년 11월부터 1993년 11월까지 대전~진주 간 고속 도로 실시 설계를 하였다. 1996년 12월 20일 진주~서진주 구간이, 1998년 10월 22일 서진주~함양 구간이, 2000년 12월 22일 무주~산내 구간이 개통하였다. 2002년 12월 5일 대전통영고속도로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
[현황]
현재 금산군에는 2개의 나들목[추부나들목, 금산나들목]과 1개의 휴게소[금산인삼랜드휴게소]가 있다. 차선은 왕복 4차선이며, 마달터널[통영 방향]과 인삼랜드~추부나들목[대전 방향]의 일부 구간에서 편도 3차선으로 확장된다. 교통량은 2022년 금산군 제원면 수당리 기준으로 2만 8771대로 집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