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120
한자 -公園
영어공식명칭 Geumsan Wild Goose Park
이칭/별칭 원골유원지,원골기러기공원,월영공원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대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0월 18일 - 기러기공원 원골인공폭포 준공
최초 설립지 기러기공원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현 소재지 기러기공원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지도보기
성격 수변 공원
전화 041-750-2374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에 있는 수변 공원.

[개설]

기러기공원천내리 난들[천내2리]의 원골유원지 구역 안에 있다. 중국의 소상8경(瀟湘八景) 중 모래톱에 날아와 앉은 기러기를 뜻하는 ‘평사낙안(平沙落雁)’에서 이름을 따왔다. 월영산 인근에 있어 월영공원이라고도 부른다.

[건립 경위]

농촌 지역의 자연 경관과 문화, 사회 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휴양, 레저, 체험 공간 조성을 위하여 기존 시설을 정비, 조성하고 기러기공원이라 이름하였다.

[변천]

2006년 12월 28일부터 2007년 9월 11일까지 높이 80m, 총길이 95m의 자연 친화형 인공 폭포 공사를 진행하였고, 2007년 10월 18일 준공하였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금강’이라는 자연 테마와 인삼 음식이라는 사회 자원의 결합을 테마로 하여 50억 원을 투입하여 시설물을 조성하였다.

[구성]

‘기러기공원’ 표지석과 ‘천내2리[난들]’ 마을 표지석이 설치되어 있다. 공원 시설로 주차장, 화장실, 개수대, 안내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현황]

기러기공원은 한때 캠핑을 하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명소였으나, 자연 보호와 마을 주민들의 민원, 안전상의 이유로 야영 및 차박을 금지하였다. 2022년 4월 28일 월영산 출렁다리가 개통하면서, 월영산-부엉산 둘레길에 포함되어 많은 방문객이 찾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