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57
한자 毅禪閣
분야 종교/불교,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보석사1길 30[석동리 71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초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의선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9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의선각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의선각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보석사1길 30[석동리 711]지도보기
성격 사찰 건축물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보석사에 있는 조선 전기 사찰 건축물.

[개설]

의선각(毅禪閣)진악산(進樂山) 자락에 있는 보석사(寶石寺) 내에 위치한 사찰 건축물로서, 영규대사(靈圭大師)의 영정을 봉안하던 중요한 건물이다. 보석사에는 의병승장비(義兵僧將碑)가 있는데, 금산 전투(錦山 戰鬪)에서 중봉 조헌(趙憲)과 함께 순절한 기허당 영규대사의 순절 사적비로서 1840년(헌종 6)에 보석사 입구에 건립되었다.

[위치]

의선각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11번지에 있는 보석사 대웅전(寶石寺 大雄殿) 왼쪽에 자리한다.

[변천]

의선각은 조선 전기에 건축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의병 승장 영규대사가 계룡산(鷄龍山) 갑사(甲寺)와 보석사를 오가며 수도할 때 머무르던 처소로 전해지고 있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정면에 순조(純祖)의 부마인 창녕위 김병주(金炳疇)가 쓴 ‘의선각’ 현판이 걸려 있다.

[현황]

의선각은 1984년 5월 17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현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9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현재는 승려가 생활하는 요사채로 사용한다. 예전에는 의선각영규대사 외 9인의 선사 영정을 봉안하였으나, 현재는 영규대사의 위패는 칠백의총 종용사(從容祠)로 이전한 상태이고, 영규대사의 진영은 도난당하였다.

[의의와 평가]

의선각영규대사의 공적을 알 수 있는 건축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