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117
한자 大芚山 道立公園
영어공식명칭 Daedunsan Provincial Park
이칭/별칭 한듬산,한듬메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대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5월 22일연표보기 - 대둔산도립공원[충청남도 구간] 지정
최초 설립지 대둔산도립공원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현 소재지 대둔산도립공원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지도보기
성격 도립공원
면적 24.54㎢
전화 041-635-6970[대둔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과 충청남도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개설]

노량산맥 북부에 자리 잡은 대둔산은 진산(珍山) 지역의 진산(鎭山)이며,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계이기도 하다. 대둔산은 큰 바위가 병풍처럼 둘러 있는 형국이라 붙여진 이름이며, 한듬메, 한듬산이라고도 부른다. 호남의 소금강, 작은 설악산이라고도 한다.

[건립 경위]

도립 공원(道立 公園)은 국립 공원에 준하는 자연 풍경을 보호하고 이용할 목적으로 「자연공원법」에 따라 지정한 자연공원이다.

[변천]

대둔산도립공원은 전북특별자치도 대둔산 지역은 1977년 3월 23일, 충청남도 대둔산 지역은 1980년 5월 22일 도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구성]

대둔산도립공원의 총 지정 면적은 72.64㎢이며, 이 중 충청남도 구간은 24.54㎢이다. 금산 지역에서 대표적인 장소로는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진 오대산[569.1m]과 겹겹으로 둘러싸인 암봉으로 이루어진 생애대[735m] 등이 있다.

[현황]

한국8경 중 하나인 대둔산은 사계절마다 각각의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 준다. 주변에는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태고사가 있으며, 태고사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오면 장군약수터가 있다. 그 위로 동학군의 최후를 맞이했다는 구전이 전해지는 상여바위 혹은 장군바위라고 부르는 바위가 있다. 그 아래에는 중봉(重峯) 조헌(趙憲)[1544~1592]이 젊은 날 공부를 했다고 해서 ‘중봉절터‘라 부르는 청림사 터가 있다. 북쪽으로 에딘버러CC가 있으며, 오대산 동남쪽에는 권율장군이치대첩비(權慄將軍梨峙大捷碑)와 진산자연휴양림[대둔산자연휴양림]이 있다. 금산군 문화관광 홈페이지에는 화장실 광장에서 출발하여 장군약수터-생애대-낙조대-태고사 입구-화장실 광장으로 돌아오는 길이 8.46㎞의 원점 회귀형 등산 코스가 소개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