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56 |
---|---|
한자 | 仙源川 |
영어공식명칭 | Seonwon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창평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전구간 | 선원천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
---|---|
해당 지역 소재지 | 선원천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창평리![]() |
성격 | 하천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에서 발원하여 창평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선원천(仙源川)은 ‘선원리(仙源里)’라는 동리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선원리는 마을 뒷산에 풍수상 ‘선인독서형(仙人讀書形)’ 또는 ‘선인등대형(仙人登臺形)’의 명혈(名穴)이 있으므로 선인이 나와 마을을 두루 보살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 틀무실[기물(機勿)] 남쪽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창평리에서 봉황천에 유입된다. 선원리 발원지에서 봉황천 합류 지점까지 남동-북서 방향으로 대체로 직선상(直線狀)으로 흐르고 있다.
[현황]
하천의 상류부와 중류부에는 폭이 좁은 대상의 범람원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다.하류부 창평리의 창평마을 일대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범람원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 봉황천이 범람하여 형성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