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792 |
---|---|
한자 | - - 國際衛星- |
이칭/별칭 | KT 위성운용센터 금산위성센터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가래울길 117[양전리 25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성효 |
설립 시기/일시 | 1970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4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 금산위성센터 제1기 안테나 작동 종료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KT SAT 금산위성센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가래울길 117[양전리 259-1]![]() |
성격 | 위성 기지국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에 있는 1970년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위성 기지국.
[개설]
KT SAT 금산위성센터는 총 공사비 18억 4000만 원으로 1970년 설립되었으며, 금산위성통신지구국 또는 KT 위성운용센터 금산위성센터 등으로 불린다. 지구국의 설비는 안테나가 포함되는 통신 연락선 전원 설비와 국사(局舍)로 구성되며, 높이 35m의 콘크리트 지주 위에 직경 27m의 원형 안테나와 부속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은 KT에서 운영 중이다.
[설립 목적]
KT SAT 금산위성센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위성 통신은 단파 통신이나 해저 케이블과 달리 마이크로파를 이용하고 있으며, 국제 전화나 국제 텔렉스의 송수신은 물론 국가 간의 TV 동시 중계와 같은 통신을 위해 설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 후반 급증하는 국제 통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국제 통신 회선의 광대역 전송로 확보 계획을 수립하고, 이 계획에 의하여 위성 통신 방식의 도입에 의한 광대역 통신망화를 추진하였다. 1967년 2월 국제통신위성기구[INTELSAT]에 가입하고 위성통신지구국의 건설을 추진하여, 1970년 6월 충청남도 금산에 제1위성통신지구국을 개통하였다.
[변천]
체신부가 1969년 5월 총 공사비 18억 4000만 원을 들여 착공하여 1년 만에 완공하였다. 태평양에 떠 있는 통신 위성 인텔새트(INTELSAT) Ⅲ호, F-4의 중계로 전 세계에 전파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는 기지국으로, 태평양 지역 통신 위성 인텔새트 Ⅲ호에 접속하여 태평양 연안 7개 국가 간 136회선의 국제 통신망이 구축되었다. 이어 1977년에 제2기[인도양 방면], 1980년에 제3기[TV·이동용], 1984년에 제4기[TV·이동용]가 설치되었다. 안테나의 지름이 제2기는 30m, 제3기는 11m, 제4기는 13m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KT SAT 금산위성센터는 지상망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는 해외 지역, 도서 지역, 산간 오지, 건설 현장 등에 위성 전용 통신망을 구성해 데이터, 음성, 화상 회의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황]
제1기 안테나는 2021년 말에 작동이 종료되었으나, 2022년 기준 45개 초대형 고성능 안테나와 5기의 위성, 7000회선을 보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는 우리나라 국제 통신 발달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기술적·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4월 국가등록문화재 제436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