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165
영어공식명칭 Ferr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대은

[정의]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배를 이용하여 강이나 내를 건너 다닐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곳.

[개설]

나루는 그 규모에 따라 도(渡)와 진(津)으로 나눈다. 전통 시대 금산 지역은 금강 문화권에 속하였는데, 주로 동쪽 지역에 금강 본류가 흐르기 때문에 지금의 제원면, 부리면에 수많은 나루가 형성되었다.

[문헌에 기록된 금산의 나루]

조선 시대 금산 지역의 나루와 관련한 기록은 지리지와 지도에서 확인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소이진(召爾津)에 관한 기록이 나와 있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진도(津渡)’라는 항목에 두 곳의 나루[소이진, 광석진(廣石津)]를 언급하고 있으며, 부차 설명으로 두 곳에 대해 여름에는 배로 건너고, 겨울에는 다리로 건넌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산천(山川)의 소이진을 언급하고 있다. 『1872년 지방지도』「금산군지도」에는 배 모양의 그림이 동남쪽 끝부분의 ‘소이진’과 동북쪽 제원역 인근 ‘광석강(廣石江)’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천과 현황]

금산 지역의 나루는 주로 제원면부리면 일대에 있었는데, 현재 부리면에 10곳, 제원면에 5곳이 남아 있다. 그중 부리면에는 서면나루·방우리나루·방우리원나루·농원나루·압수나루·지렛여울나루·수통나루·도파나루·신촌나루·어재나루가 있고, 제원면에는 용화나루·닥실나루·천내나루·광석나루·장선이나루가 있다. 금산 지역의 나루 대부분은 교량이 설치되면서 그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수통리적벽교, 도파리의 수통대교, 평촌리의 무지개다리, 천내리-저곡리의 제원대교 등이 나루가 있던 자리 혹은 인근에 생긴 교량이다. 일부는 현재도 철선을 이용하여 나루를 활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